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청년도약계좌

    청년도약계좌, 정부가 5년간 매달 최대 3만3천원을 지원해준다? 조건부터 신청 절차, 일시납입 팁까지 완전 정리!

     

     

    가입대상 조건

   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
   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,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  - 병역이행자는 최대 6년까지 연령 산정 시 제외 가능

    -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,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

    - 가구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가구원 수 기준)

    - 최근 3개 과세연도 중 1회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자

     

    가구원 수 중위소득 250% 기준 (연소득)
    1인 62,336,760원
    2인 103,684,650원
    3인 133,044,480원
    4인 162,028,920원
    5인 189,920,640원
    6인 216,839,430원
    7인 243,225,450원

     

    가입시 혜택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다음과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
    - 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(월 최대 33,000원)

    - 납입 원금 및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전액 비과세

    -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우대금리 적용

     

    총급여액 기준 종합소득 기준 월 납입 한도 월 최대 정부기여금 
    2,400만원 이하 1,600만원 이하 40만원 33,000원
    3,600만원 이하 2,600만원 이하 50만원 29,000원
    4,800만원 이하 3,600만원 이하 60만원 25,200원
    6,000만원 이하 4,800만원 이하 70만원 21,000원
    7,500만원 이하 6,300만원 이하 - -

     

    가입 및 심사 절차

     

    가입 절차는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진행됩니다.

    1. 은행 앱(App)을 통해 신청 (매월 가능)
    2. 서민금융진흥원의 소득 및 가구요건 심사 (약 2주)
    3. 익월 초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

    심사 시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(국세청, 병무청 등)을 통해 자동으로 확인되며, 서류 제출은 최소화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안내

     

   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유지한 경우, 수령금 전액 또는 일부를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할 수 있습니다.

    - 최소 200만원부터, 월 설정금액에 따라 전환기간 설정

    - 설정금액은 40, 50, 60, 70만원 중 선택 가능 (변경 불가)

    - 일시납입 시 기여금도 일괄 지급되며, 이후부터 신규납입 가능

     

    월 설정금액 일시납입금 예시
    40만원 200만원 ~ 1,280만원 (40만원 단위)
    50만원 200만원 ~ 1,300만원 (50만원 단위)
    60만원 240만원 ~ 1,260만원 (60만원 단위)
    70만원 210만원 ~ 1,260만원 (70만원 단위)

     

    유지심사 안내

   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
    청년도약계좌는 1년 단위로 유지심사를 통해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을 재산정합니다.

    - 국세청 소득 정보로 자동 확인 (비과세 소득자는 증빙 필요)

    - 소득이 6,000만원(종합소득 4,800만원) 초과 시 기여금 미지급

    - 유지심사 결과는 비과세 혜택과 계좌 유지 여부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

    - 결과는 알림톡 및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비대면 신청 방법 및 5월 일정

    청년도약계좌, 정부가 5년간 매달 최대 3만3천원을 지원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 만 19세에서 34세 이하 청년이 매달 자유롭게 저축

    essu.mooawin.com

     

    반응형